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2025 KB금융 배당 투자자 필독! 배당+자사주 소각 전략

by 잔망턱 2025. 4. 14.
728x90
반응형

요즘처럼 시장 변동성이 큰 시기에는 매 분기 수익을 챙길 수 있는 배당주 투자가 다시 주목받고 있습니다. 그중에서도 KB금융은 대표적인 고배당 금융지주사로, 투자자들 사이에서 꾸준히 사랑받는 종목입니다. 단순히 배당을 많이 주는 것에서 끝나는 것이 아니라, 자사주 소각 등 주주환원 정책도 탄탄하게 펼치고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KB금융, 배당투자’를 주제로 2024~2025년 배당 현황부터 수익률, 주주 정책, 실적까지 하나하나 풀어보겠습니다.

KB금융 배당투자 이미지

1. KB금융, 배당 얼마나 주나?

2024년 한 해 동안 KB금융은 총 주당 3,174원의 현금 배당을 실시하였습니다. 이는 분기배당(4월, 7월, 10월)과 결산배당(2025년 2월)까지 합친 금액입니다.

 

2025년 4월 14일 기준, 주가는 약 76,000원대입니다. 여기에 배당금 3,174원을 적용해보면 배당수익률은 약 4.18% 수준입니다.요즘 예금 금리가 다시 낮아지고 있는 것을 고려하면, 꽤 매력적인 수익률입니다. 그리고 이 수치는 단순 현금 배당만 포함된 계산입니다. 여기에 더해 KB금융은 ‘자사주 소각’이라는 간접 보상도 함께 진행하고 있습니다.

 

2. 자사주 소각, 이 점이 진짜 중요

자사주 소각은 ‘회사가 자기 주식을 사서 없애는 것’입니다. 이렇게 되면 남은 주식의 가치는 자연스럽게 올라가게 됩니다.

 

KB금융은 2024~2025년 총 1조 원 규모의 자사주 소각 계획을 발표하였습니다. 이미 2025년 상반기에만 5,200억 원어치 소각을 완료하였고, 하반기에도 추가 소각이 예정되어 있습니다 .

KB금융 자사주 소각 공시 이미지
출처 : dart

이는 단순히 “돈을 주는 회사”를 넘어서, 주주 지분 가치를 실질적으로 끌어올리는 정책이라 할 수 있습니다. 그래서 ‘KB금융, 배당투자’는 현금 수익과 자산 가치 상승을 함께 기대할 수 있는 구조입니다.

 

3. 배당성향, ROE, 재무건전성도 탄탄

배당을 많이 준다고 해서 무조건 좋은 것은 아닙니다. 지속 가능성이 가장 중요합니다.

  • 배당성향은 2024년 기준 약 23.6%, 2025년에도 비슷한 수준이 예상됩니다.
  • ROE(자기자본이익률)는 약 9% 수준으로, 업계 평균을 웃도는 수치입니다.
  • CET1 비율(핵심 자기자본비율)은 13.5% 이상으로, 금융당국 기준을 크게 상회합니다.

즉, 이익을 안정적으로 내고 있으며, 재무 구조도 튼튼하기 때문에 앞으로도 배당이 줄어들 가능성은 낮다고 할 수 있습니다.

반응형

4. 실적도 안정적

2024년 KB금융의 지배주주 순이익은 약 5조 782억 원, 2025년 전망치는 약 5조 3,550억 원입니다 . 은행 부문뿐만 아니라 KB증권, KB손해보험, KB국민카드 등 비은행 부문의 수익도 양호하게 유지되고 있습니다. 이러한 수익 다각화는 경기 변동성에도 흔들림 없는 수익 기반을 만들어줍니다.

 

예를 들어, 증권 부문은 금리 하락기에는 수수료 수익이 개선되고, 보험은 꾸준한 계약 기반으로 안정적인 수익을 만들어냅니다.‘한쪽이 힘들면 다른 쪽이 도와주는 구조’가 잘 갖추어져 있는 것이 KB금융의 강점입니다.

 

5. 총주주환원율 40% 넘는다? 이건 진심

배당금과 자사주 소각을 합한 개념을 총주주환원율이라고 합니다. KB금융은 이 수치를 매년 공개하고 있습니다.

  • • 2024년: 총주주환원율 약 39.8%
  • • 2025년 전망: 42.6%까지 상승할 것으로 예상

이는 국내 금융지주사 중에서도 가장 적극적인 주주친화 정책에 해당합니다. 다시 말해, 회사가 벌어들인 이익의 절반 가까이를 주주에게 돌려주는 구조입니다. 단기 이벤트가 아니라 장기적인 전략으로 자리잡은 흐름이기 때문에 배당 투자자 입장에서는 매우 신뢰할 수 있는 종목입니다.

728x90

KB금융은 2024년 한 해 동안 총 3,174원의 배당금을 지급했으며, 2025년 4월 현재 주가 약 76,000원을 기준으로 보면 배당수익률은 약 4.18% 수준입니다. 연간 1조 원 규모의 자사주 소각 계획은 상반기에 이미 5,200억 원 이상이 진행됐고, 하반기에도 추가 소각이 예정되어 있어 주당 가치 상승 기대감도 높습니다.

 

총주주환원율은 2025년 기준 약 42.6%로 전망되며, 이는 국내 금융지주사 중에서도 매우 높은 수준입니다.또한, ROE는 약 9% 내외로 수익성도 안정적이며, CET1 비율(핵심 자기자본비율)도 13.5%를 넘기며 재무 건전성 역시 뛰어납니다.

 

이처럼 현금배당, 자사주 소각, 수익성과 건전성 모두를 두루 갖춘 KB금융은, 배당투자를 고려하는 투자자에게 매우 실질적인 보상을 제공하는 종목이라 할 수 있습니다.

 

📌 출처 정리

1. 배당금 및 기준일 정보

• [KB금융지주 2024년 분기 및 결산배당 공시 (DART)]

• [KB금융지주 2025년 정기주주총회 공시자료]

2. 2024~2025년 실적 및 주주환원 정책

• [한화투자증권 리서치: KB금융 자본정책 로직 분석 (2025.02.06)]

• [LS증권 리서치: KB금융 총주주환원율 42.6% 전망 (2025.02.06)]

3. 배당성향·ROE·CET1 수치

• [KB금융 2025년 사업보고서, 2024년 분기·반기보고서 (DART)]

728x90
반응형